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청년도약계좌로 목돈 만들기

반응형

 

안녕하세요. 최근 괜찮은 제도가 있어서 공유드립니다.

30대가 넘어서 생각해보니 사회생활을 시작하면서 조금 더 재테크에 관심이 있었다면 지금 상황이 확실히 달라졌을텐데라는 생각을 자주 하곤합니다.

재테크가 선택이아닌 필수라는말을 수없이 들었지만 행동하지 않았던 시간이 너무 아깝네요.

작은 차이라고해도 오랜시간 지속했을 때 나오는 결과는 굉장한 차이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공격적인 투자도 좋지만 일부는 안정적인 투자를 병행하는게 좌절하지 않을 수 있는 방법이지 않나 생각해서 괜찮은 목돈 만들기위한 정책을 소개드리려고 합니다.

 

 

▶ 신청기간

2023년 06월 15일 ~ 2023년 12월 31일
 

 혜택

월 40~70만 원을 적립하면 가입자 소득에 따라 납입액의 최대 6퍼센트까지 정부 지원
가입후 3년은 고정금리, 이후 2년은 변동금리가 적용

3년 이상 가입을 유지하는 경우 펀드 납입액(연 최대 600만원)의 40%를 소득공제(최대 5년)

 

 신청자격

 

연령 : 만 19세 ~ 39세

 

거주지 및 소득 : 

아래 ①~④ 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자
① 신규 가입일 기준 만 19세~34세 이하(병역복무기간 최대 6년 추가 인정)
② 총급여액 7,500만원 이하(종합소득금액 6,300만원 이하)
③ 가구원 수에 따른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에 해당하는 자
④ 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 제외

 

참여제한대상  :  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는 가입이 제한

 

 신청절자 

 

취급기관 앱을 통해 비대면*으로 매월 청년도약계좌 가입을 신청할 수 있으며, 개인소득과 가구소득 심사를 병행
* 가구원 확정 관련된 일부 예외사례(관계단절 등) 등은 대면신청 가능

 

 신청사이트 

취급 금융 기관

 

참고 사이트 : https://www.kinfa.or.kr/product/youthJump.do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

서민금융상품(근로자햇살론, 햇살론15, 햇살론유스, 미소금융), 서민생활지원, 휴면예금 지급서비스 제공

www.kinfa.or.kr

 

결과적으로 경제적 자유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은 소득이 적을 떄 일수록 조금 더 아끼고 목돈을 빠르게 만드는 방법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작은 돈이라고 무시하지말고 조금씩 쌓아가는 생활을하면 분명히 좋은 결과가 있을거라고 생각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