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전세 계약 전 알아야 할 필수 점검 사항 9가지

반응형

 

 

최근 많은 분들이 전세사기로 인해 경제적, 정신적으로 큰 피해를 입고 있다는 소식을 접하며 안타까운 마음입니다. 특히 전세를 처음 알아보시는 분들이나, 주택시장에 익숙하지 않은 분들에게 전세사기는 더욱 큰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전세 계약을 체결하기 전에 반드시 확인해야 할 중요한 사항들을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1. 등기부등본 확인은 기본 중의 기본

등기부등본은 해당 부동산의 법적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문서입니다. 반드시 계약 직전과 잔금 지급 직전에 확인해야 합니다.

확인할 사항:

  1. 소유자 정보: 계약 상대방이 등기부등본 상의 실제 소유자인지 확인하세요.
  2. 근저당권: 근저당권이 설정되어 있다면 해당 부동산이 이미 담보로 잡혀 있는 상태입니다.
  3. 가압류, 가처분, 경매 신청 여부: 이런 권리가 설정되어 있다면 리스크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Tip: 등기부등본은 인터넷 등기소(https://www.iros.go.kr)에서 발급 가능합니다.


2. 전세보증금과 집값(매매가)의 비율 확인

전세보증금은 해당 부동산의 매매가를 초과해서는 안 됩니다. 전세가율이 70%를 초과한다면 리스크가 높아집니다.

  • 매매가 대비 전세가율: 일반적으로 70% 이하가 안전하다고 판단됩니다.
  • 시세 확인: 부동산 플랫폼(네이버 부동산, 직방 등)에서 주변 시세를 비교하세요.

Tip: 매매가가 너무 낮은 경우 허위 매물일 가능성도 있으니 주의하세요.


3. 임대인의 신용 상태 확인

임대인이 부채가 많거나 신용 상태가 좋지 않다면 전세보증금 반환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확인 방법:

  • 임대인 명의의 부동산 대출현황: 등기부등본에서 근저당 설정 금액으로 추정.
  • 임대인 신용정보: 사전에 임대인 동의를 받고 신용조회 서비스를 이용해 확인 가능.

4. 전세보증보험 가입 여부 확인

전세보증보험은 임대인이 전세금을 돌려주지 못하는 경우 보험사에서 이를 대신 반환해 주는 제도입니다.

가입 방법:

  1. HUG(주택도시보증공사), SGI서울보증 등을 통해 가입.
  2. 전세계약 전, 보험가입 가능 여부를 확인하세요. 보험 가입이 불가하다면 리스크가 높은 매물일 가능성이 큽니다.

5. 권리 관계가 복잡한 물건 피하기

다음과 같은 권리관계가 설정된 물건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집주인이 여러 명: 공동 소유주가 있는 경우 모두의 동의가 필요합니다.
  • 임차권이 이미 설정된 경우: 다른 세입자의 임차보증금 반환 문제가 선순위로 설정될 수 있습니다.
  • 경매 진행 중인 물건: 이런 매물은 리스크가 매우 높습니다.

6. 임대차 계약서 작성 시 필수 확인 사항

계약서는 단순한 서류가 아니라, 법적 효력이 있는 중요한 문서입니다. 작성 시 아래 사항을 꼼꼼히 확인하세요.

  1. 임대인 본인 직접 서명: 대리인과의 계약은 위험할 수 있습니다.
  2. 특약 사항 추가: 예를 들어, "잔금 지급 전 근저당 설정 금지"를 명시하세요.
  3. 확정일자 받기: 확정일자는 전세금 보호를 위한 우선 변제권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7. 부동산 중개사무소 이용 시 주의사항

공인중개사를 통해 계약할 때도 안심할 수만은 없습니다.

  • 공인중개사 자격증 확인: 자격증과 등록증을 반드시 확인하세요.
  • 중개사고 배상보험 가입 여부 확인: 중개사고 발생 시 보상을 받을 수 있는 보험 가입 여부를 물어보세요.

8. 현장 방문은 필수

현장을 방문하여 주변 환경, 건물 상태, 공실 여부 등을 직접 확인하세요. 특히 다음을 주의 깊게 살펴보세요:

  • 빈집 여부: 다른 세입자가 없는 빈집은 사기 위험이 높습니다.
  • 건물 노후도: 오래된 건물은 유지보수 비용이 추가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9. 마지막 체크리스트

  • 등기부등본 확인
  • 매매가 대비 전세가율 확인
  • 전세보증보험 가입 가능 여부 확인
  • 임대인 신용 상태 확인
  • 확정일자 받기
  • 계약 전후 등기부등본 재확인

마무리: 안전한 전세 계약을 위한 첫걸음

전세사기를 예방하려면 정보의 비대칭성을 극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충분한 정보를 수집하고,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며, 꼼꼼히 확인하는 습관을 들이세요. 위 사항들을 철저히 점검한다면 전세사기 피해를 예방할 가능성이 훨씬 높아질 것입니다.

반응형